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OOP
- 피드백
- 코딩테스트
- Java환경
- 시작 #꾸준히 #과하지않게
- 회고 #주간회고
- WSL2 #권한
- 네트워크 기초
- 인터넷 #ISP
- 에러해결
- 백엔드로드맵
- 글 foramt
- 회고록
- 공부방식
- 코드스테이츠 #
- git #intellij
- 사용자계정 #WSL2
- WSL #Linux #ubuntu
- jvm
- 회고
- 정리글 작성법
- 코드스테이츠 #회고록
- 호스트주소 #Host주소
- 몰입학습 #몰입
- String
- JAVA기본
- 롤중독
- mapstruct
- 회고록_코드스테이츠
- Git #회고록
Archives
- Today
- Total
느리더라도 꾸준히
회고록(3) 본문
1. 지금 현재, 당신의 기분이나 느낌을 표현해 주세요.
와이어 프레임 때문인지 오늘은 푹 잘수 있을거 같아 기분이 좋다. 최근 수면 영상글을 읽었는데 아래에 적을 수면에 좋은 두가지는 꼭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 오전, 점심에 햇빛보기(멜라토닌 호르몬 분비 유발)
- 취침 4시간 전에 운동하기(간단한 유산소)
내일 페어와 함께 첫 트위틀러 목업을 구현한다. 오늘은 무조건 푹자고 페어와 좋은 커뮤니케이션을 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2. 오늘 무엇을 학습한 내용 중 지금 떠올릴 수 있는 단어를 모두 나열해 주세요.
페이지 레이아웃
- flexbox,수직분할, 수평분할, flex container(부모), flex items(자식), Main axis, Cross axis, flex-direction:, justify-content:,flex-wrap:,flex:(grow,shrink,basis)
웹 앱화면 설계하기
- wireframe, mockup(목업?)
3. 2에서 작성한 단어를 가지고, 오늘의 학습 내용을 설명해 보세요.
페이지 레이아웃
- CSS에서는 display: flexbox 속성을 통해 해당 tag요소의 박스를 flexbox로 바꿀 수 있다.
- flexbox는 기본적으로는 수직분할로 정렬 후 수평분할로 정렬시킨다.
- 여러 속성들로 flex items들의 정렬기준을 만들어줄 수 있다.(이때flex-direction: 로 설정하는 Main axis가 어디쪽인지의 영향을 받는다.)
- flexbox container(부모)의 속성들이 items정렬에 영향을 끼친다면, flexbox items의 속성은 items요소의 크기에 영향을 끼친다.
- flex: 0 1 auto 가 default값이다.
- flex-basis: 0과 auto는 절대적/상대적 flex item을 만든다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웹 앱화면 설계하기
- 와이어 프레임은 애니메이션이나 다른 동작이 없이 제품의 레이아웃과 구조를 단순하게 보여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 목업은 실제 웹의 기능적인 부분(애니메이션, javascript의 동적기능)은 구현하지는 않지만, 작동하는 동작모습과 동일하게 정적인 HTML과 CSS만 만드는 것을 말한다.
4. 설명하기 어려운 단어가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직/수평 분할
- 원래의 의미와 반대로생각한다.
- 이유 : 수직상태에서 분할하고 , 수평상태에서 분할한다고 생각해서
- 실제 정의 : 화면을 수직/수평으로 분할해서 정렬한다.
5. 그 단어를 스스로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 누군가에게 질문을 한다면, 어떤 질문을 해야 할까요?
- 수직/수평분할은 화면을 어떻게 분할해서 정렬한다는 걸까요?
'(CodeStates)Daily memoi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고록-(5) (0) | 2022.10.28 |
---|---|
회고록(4) (0) | 2022.10.26 |
회고록-(2) (0) | 2022.10.24 |
첫 회고록 (0) | 2022.10.21 |
코드 스테이츠 학습전략 (0) | 2022.10.2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