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터넷 #ISP
- mapstruct
- 정리글 작성법
- String
- 코드스테이츠 #회고록
- 회고
- 글 foramt
- 몰입학습 #몰입
- 코드스테이츠 #
- JAVA기본
- 백엔드로드맵
- 호스트주소 #Host주소
- 공부방식
- jvm
- Java환경
- WSL #Linux #ubuntu
- 롤중독
- 코딩테스트
- Git #회고록
- 에러해결
- 피드백
- 회고록_코드스테이츠
- 사용자계정 #WSL2
- 네트워크 기초
- OOP
- 시작 #꾸준히 #과하지않게
- 회고 #주간회고
- WSL2 #권한
- git #intellij
- 회고록
- Today
- Total
목록http&Internet (5)
느리더라도 꾸준히

1. 프로토콜이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통신규약을 말합니다. 손쉽게 말하자면 서로(다른 컴퓨터들) 끼리 약속을 하는 것이다. 2. 왜 필요할까?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들이 연결되고 인터넷 네트워크까지 만들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이제 네트워크를 통하여 A컴퓨터에서 B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싶다고 합시다. 만약 어떠한 규약없이 메세지를 보내게 되면 B컴퓨터는 해당 메세지를 제대로 해석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A에게 알맞은 응답메세지를 보내지도 못하고, 잘못된 메세지인 경우 잘못된 메세지라고 보낼수도 없게 됩니다. 그리고 막상 보내더라도 A또한 B메세지를 제대로 해석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컴퓨터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어느 컴퓨터든 일관된 방..

정리 1. 정의 및 특징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두개 이상의 컴퓨터들이 서로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케이블(유선) 또는 WiFi(무선)로 연결해놓은 통신망 네트워크에는 무슨 종류가 있을까? 더 많은 영역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위 그림처럼 나눌 수 있다. PAN ( Personal Area Network ) :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LAN ( Local Area Network ) :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WAN (Wide Ares Network) : 광대역 네트워크 거시적으로 보면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등의 가까운 지역들의 컴퓨터들을 연결하여 LAN 이라는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LAN 들이 모이고 연..

목표 IP주소, 도메인, DNS 동작원리를 이해해보자. IP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릿, 서버 등등)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ip라고 한다. 예) 115.68.24.88, 192.168.0.1 도메인이란? ip는 사람이 이해하고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각 ip에 이름을 부여할 수 있게 했는데,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한다. naver.com -> 220.95.233.172 도메인의 구성요소 컴퓨터의 이름과 최상위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아래와 같다. opentutorials.org opentutorials : 컴퓨터의 이름(호스트이름-5챕터에서 공부) org : 최상위 도메인 - 비영리단체 daum.co.kr dau..

목표 인터넷의 동작방식을 거시적으로 이해한다. 요약 인터넷은 웹의 핵심적인 기술입니다. 인터넷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가능한 거대한 네트워크라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인터넷은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고 어떤 일이 있어도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있는 방법을 찾는 방법입니다. 깊게 들어가기 단순한 네트워크 두 개의 컴퓨터가 통신이 필요할 때, 우리는 다른 컴퓨터와 물리적으로 (보통 이더넷 케이블) 또는 무선으로 (예를 들어, WiFi 나 Bluetooth 시스템) 연결되어야 합니다. 모든 현대 컴퓨터들은 이러한 연결 중 하나를 이용하여 연결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실제 네트워크들은 두대가 아닌 원하는 만큼의 컴퓨터를 연결할수 있습니다. 만약 10개의 컴퓨터를 모두 연결하려면 컴퓨터당 9개의 연..

목표 HTTP 공부중 여러 개념들이 헷갈려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Host, Host 주소, 서브넷 마스크를 이해해 봅시다. 아직 네트워크 전공을 들어본 적이 없어서 많이 다를수 있는점 양해부탁드립니다. 0.호스트란? 호스트 주소를 알기전에 먼저 호스트에 대해 알아봅시다. 컴퓨터 용어에서 호스트란 네트워크/인터넷 속의 호스트를 의미하며, 이는 다른 컴퓨터들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를 말합니다. 즉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나 기타장치를 말합니다. 그러므로 현재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내 pc, google 서버등 모두 호스트라고 할수 있습니다. 1.Host 주소란? 특정한 네트워크 내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한 주소입니다. 좀 더 의미 가 다가오도록 하기위해 연관된 개념들을 봅시다. 일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