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롤중독
- 글 foramt
- String
- jvm
- 회고 #주간회고
- 회고록_코드스테이츠
- git #intellij
- 호스트주소 #Host주소
- 몰입학습 #몰입
- 피드백
- 인터넷 #ISP
- 회고록
- Git #회고록
- WSL #Linux #ubuntu
- 에러해결
- 코드스테이츠 #
- mapstruct
- 공부방식
- 시작 #꾸준히 #과하지않게
- 코드스테이츠 #회고록
- WSL2 #권한
- 코딩테스트
- OOP
- 회고
- 정리글 작성법
- 백엔드로드맵
- Java환경
- 네트워크 기초
- JAVA기본
- 사용자계정 #WSL2
- Today
- Total
목록개발 (10)
느리더라도 꾸준히
TIL 을 기록하든 블로그글을 기록하든 좋은 문서화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자. 1. 가장 좋은 문서화는 코드이다. 적혀있는 코드만 보면 개념을 이해할수 있는 코드가 가장 좋은 문서이다.아무리 설명을 많이 달더라도 공식문서나 책만큼 많이 담을 수는 없다. 링크를 걸어놓고 최대한 미래에 내가 보았을때 간결히 써보자. 2. 코드로 표현할수 없는 부분을 글과 그림등으로 나타낸다. 예) 여러 DB들중 이러한 DB를 사용하는 이유, 비즈니스 로직, 아키텍쳐 부분 등. 출처 드림코딩엘리 중 문서화 부분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4D0PYVntENw&ab\_channel=%EC%BB%B4%EA%B3%B5%EC%84%A0%EB%B0%B0 요약 배경지식 어떤 알고리즘 기법이 있고 툴들이 있는지 아는것 문제해결력 문제가 주어졌을때 어떤 기법을 사용해야하고, 어떤 전략으로 할 것인지 구현력 1,2번에서 사고한것을 프로그래밍(코드)로 옮기는 작업 결론 : 무작정 많이 푸는것, 문제에 맨땅에 헤딩하기 보다는 1번,2번,3번 전부 구분해서 실력을 길러야 한다. 특히 1번을 위한 공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2번, 3번에 적용 할수 있으므로 일정 단계까지는 알고리즘에 대하여 공부하자. (단 모든 알고리즘이 아니라, 코딩테스트에 주로 나오는 알고리즘들을 공부한 후 문제해결, 구현..
1.언어 선택 가장 편한 언어 직군관련 언어 서브언어 나에게 있어서는 자바 or 파이썬/JS 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2. IDE 지원 회사마다 사용할 수 있는 IDE사용유무/ 종류가 다르므로 잘 확인해보자. 3. 코딩테스트 연습 플랫폼 기업마다 플랫폼별 기업이 다른데, 가장 많은 기업의 시험을 다루는건 프로그래머스 이다. 백준 방대한 문제수 유형별 문제집 삼성 기출 문제집 풀이 다양함. 프로그래머스 가장 많은 시험진행(대부분의 공채가 진행) 코딩테스트 고득점 키트(문제는 적지만 좋은 유형) 카카오 기출 문제집 SQL 문제집(금융권 대비) SW Expert Academy 삼성시험환경과 동일함(삼성지원 하고싶다면 필수체크) 입출력 형태/ 문제 서술 방식(조금 정리가 안된 느낌) 2. 준비 단계별 공부 순서..
다음주에 할일 회고 어찌저찌 자바의 정석을 완독하는데 성공했다. 현재 단계로는 이런 개념들이 있으니 필요할때 찾아볼수 있을 정도의 능력을 가지게 된 것 같다. 물론 전혀 능숙하다는 기분은 들지 않는다. 자바와 친해지는 길은 쉽지않구나.. 책읽거나 강의를 공부할때는 고민이 없는데, 현재 상황처럼 "이제 어떻게 준비할래?" 라는 질문이 머리속에 떠오르면 사람이 더 피곤하고 멘탈에너지가 소모되는 것 같다. 방향 설정 브레인 스토밍을 통해 이 글에서 한번 정리해보자. 지금 어떤 걸 해야한다고 생각할까? 자바의 정석을 복습한다. 듣고 있는 스프링강의를 끝까지 듣는다. 취업, 학원(K-Digital credit)을 위한 코딩테스트 공부. 어찌저찌 웹을 만들어 본다. 영어공부... 내 기준에서 현재 우선순위는 3>2..